교육안내
직업계고 교원 현장직무연수
사업 추진 배경
01
청년 실업률 증대 및 고용률 감소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
특성화고 취업역량 강화 정책 추진 필요
02
VIP 검토 지시
“교원들이 산업체 현장교육를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하여, 학생들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제대로 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.”
(전국 특성화고·마이스터고 교장과의 간담회, 2011.10.24)
03
특성화고 등 교원 현장직무교육 지원을 위한「교육부」·「산업통산자원부」·「고용노동부」의 업무협약서(MOU) 체결
(교과부, 지경부, 고용부 장관, 2011.12. 8)
부처 | 역할 |
---|---|
교육부 |
|
산업통산자원부 |
|
고용노동부 |
|
[참고] 특성화·마이스터고 교원 현장직무교육 지원 MOU내용
사업추진방향
사업목적
기업과 연계된 현장교육를 통해 특성화·마이스터고 교원의 교육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특성화·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취업역량을 강화 하고자 함
추진방향

비전
교원의 현장역량강화를 통한 학생취업 역량 강화
추진방향
기업연계 현장직무연수를 통한 교육역량 강화
- 교원 및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을 통한 연수정착
- 현장직무연수 제공을 통한 교원의 현장역량 및 학생의 취업역량 제고
- 수요자 중심 현장직무연수과정 설계 및 운영
기업연계 현장직무연수 제공
기반
- 정부부처
-
- 교육부
- 고용노동부
- 산업통상자원부
- 연수 제공 기관
-
- 산업체
- 연수 주관기관
사업특징
직업계고 교원 대상 산업현장과 연계된 맞춤형 현장직무교육 운영

기대효과
- 1 특성화고 전문교사의 현장적응력 제고 및 현장성 있는 수업 운영
- 2 산업체 경영마인드의 학교 유입통로 마련
- 3 산학연계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교재 재구성 및 교재개발
- 4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중심의 실습 가능
- 5 새로 도입되는 교육기자재 활용 능력 증대

-
- 산업체 현장기술
- 최신기술동향
- 전문교과이론
- 특성화고 교원
-
- 현장직무능력강화
- 직업교육 전문성 향상
- 특성화고 학생 취업역량 강화
페이지 담당정보
- 담당부서신기술교육개발센터
- 연락처ARS 041-521-8000(2번)
최종수정일 : 2020-01-28